본문 바로가기

금융 꿀팁 & 시사이슈

기준중위소득표로 보는 내 복지자격 – 2025년 소득기준 복지제도 총정리

 

2025년 복지제도를 신청하려면 가장 먼저 기준중위소득부터 확인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5월 고시된 중위소득표를 바탕으로 복지 자격 판단법과 계산기·조회 서비스 활용법, 주요 제도별 소득 기준까지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 목차

  1. 기준중위소득이란?
  2. 2025년 기준중위소득표
  3. 내 복지 자격은 어떻게 따지나
  4. 중위소득 100%, 120%, 150% 차이
  5. 복지제도별 주요 소득기준
  6. 기준 초과 시 예외 조건
  7. 신청 루틴 및 유용한 팁
  8. 마무리하며

1. 기준중위소득이란?

기준중위소득은 전체 가구 소득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중간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입니다.
정부는 이를 기준으로 다양한 복지제도(기초생활보장, 청년 지원, 돌봄 서비스 등)의 소득 자격선을 설정합니다.
중위소득의 몇 %인지가 복지 수급 여부를 결정짓는 핵심 기준이 됩니다.

2. 2025년 기준중위소득표 (가구원 수 기준)

2025년 1월 고시 기준, 가구원 수에 따른 월 소득은 다음과 같습니다.

  • 1인 가구: 2,280,000원
  • 2인 가구: 3,724,000원
  • 3인 가구: 4,794,000원
  • 4인 가구: 5,837,000원
  • 5인 가구: 6,856,000원

👉 중위소득표 조회 방법:
복지로’ 또는 ‘정부24’에 접속해 기준중위소득 조회 서비스를 활용하거나, 민간에서 제공하는 기준중위소득 계산기로 내 소득 기준을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내 복지 자격은 어떻게 따지나

복지제도 대부분은 기준중위소득표를 기반으로 정해진 % 이하일 때 신청 가능합니다.

  • 기초생활수급자: 중위소득 30~50% 이하
  • 청년 월세 지원: 중위소득 100% 이하
  • 긴급복지지원: 중위소득 75% 이하
  • 아이돌봄서비스: 중위소득 150% 이하
  • 청년도약계좌: 중위소득 180% 이하

→ 내 월소득 ÷ 해당 가구 수 기준 중위소득 × 100 = 내 중위소득 비율

 

📌 기준 중위 소득 퍼센트 대비 금액 아래에서 정확하게 확인하세요 👇

 

 

4. 중위소득 %별 기준 비교 (1인 가구 예시)

기준중위소득: 2,280,000원

  • 30%: 약 684,000원
  • 50%: 약 1,140,000원
  • 75%: 약 1,710,000원
  • 100%: 2,280,000원
  • 120%: 약 2,736,000원
  • 150%: 약 3,420,000원
  • 180%: 약 4,104,000원

예시:
230만 원 소득 → 중위소득 100% 이하 → 청년 월세 지원 신청 자격 有

👉 계산 팁:
[기준중위소득 계산기 바로가기]를 이용하면 내 월소득이 중위소득 몇 % 수준인지 자동 계산할 수 있습니다..

 

5. 대표 복지제도별 소득 기준 요약

① 청년 월세 지원

② 청년도약계좌

③ 아이돌봄서비스

④ 기초생활보장제도

  • 생계급여: 30% 이하
  • 의료급여: 40% 이하
  • 주거급여: 46% 이하
  • 교육급여: 50% 이하

6. 기준 초과 시 예외 조건

중위소득 기준을 살짝 초과해도 아래 조건이면 수급 가능성이 있습니다.

  • 지출 차감 항목: 의료비, 장애인 돌봄 등 큰 지출
  • 다자녀, 조손가정 등 특수 가구: 가산점 또는 별도 기준
  • 청년 독립가구: 부모 소득 분리 인정 가능

→ 복지로에서 맞춤형 복지 진단을 해보거나, 거주지 주민센터에 직접 문의

7. 신청 루틴 및 유용한 팁

  • 복지로 & 정부24에서 자가 진단 먼저
    📎복지로·정부24 활용법 – 숨은 정부지원금 가이드
  • 소득증명 기준일 조정
    → 최근 3개월 평균 소득 기준이 기본이며, 소득이 불규칙한 프리랜서·일용직 등은 소득 낮은 시기를 기준으로 선택 가능
  • 서류 미리 준비
  • 주민등록등본, 가족관계증명서, 임대차 계약서, 건강보험납입내역 등

8. 마무리하며

기준중위소득표는 단순한 표가 아니라, 나의 복지 자격을 판단하는 열쇠입니다.
복지제도별 소득 기준을 모르고 지나치면 받을 수 있는 지원도 놓칠 수 있습니다.

2025년 5월 현재, 정부는 다양한 소득구간별 맞춤 지원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복지로의 기준중위소득 조회 서비스나 계산기 등을 활용해, 지금 내 자격을 꼭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추천 콘텐츠:청년 정부지원금 총정리 – 놓치기 쉬운 혜택 모음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